![]() 피어스
평점: ★★
키워드: 넘어뜨리기
배치: 전열에서 상대를 넘어뜨려 해당 생존자가 제대로 된 전투를 할 수 없게 만들어 이득을 취하는 제어형 탱커 생존자.
개인장비: 30. 받는 대미지의 50%를 적에게 넘겨주게 되는데 이는 탱커인 피어스에게 굉장히 필요한 생존력 확보 수단이자 적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에 쓰려고 마음 먹었다면 적어도 30강을 추천함.
특수장비: 가지고 있는 스킬들이 최대 HP기반이기에 이를 올려주는 "헬멧" 등의 탱커용 아이템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.
활용처
총평: 본인이 특출나게 강하다기 보다 로라 같은 몇몇 생존자와 같이 상대 중 한 명을 붙잡아 억제함으로써 자신의 생존력과 팀원들의 딜 타임을 벌어주는 생존자. 그러나 탱커의 한계와 육성 난이도로 당장은 주력 카드로 꺼내긴 힘든 생존자. | ![]() 에밀리
평점: ★★★
키워드: 광역 디버프
배치: 후열에서 각종 디버프를 뿌려대는 "악"성향에 있는 드와이트의 상위호환격 제어형 생존자.
개인장비: 30. 개방에서는 30%이나 30에서 적이 받는 약화 효과의 지속 시간을 무려 60%나 늘려주기 때문에 에밀리 본인과 아군의 제어기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30강을 추천함.
특수장비: 필살기를 비롯해 패시브 스킬까지 모두가 상대를 제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만큼 "기호품"이나 "신발"을 사용하는 쪽을 추천함.
활용처
총평: 본인의 디버프가 훌륭하고 아군의 디버프 시간까지 늘려줘 제어기 조합에서는 강한 면모를 모이나 그 외에는 마땅히 사용하기가 어렵고 육성 난이도까지 있어 대부분의 절대 성향 생존자와 마찬가지로 PVP에 간혹 얼굴을 비치는 아쉬운 생존자. | ![]() 앤드류
평점: ★★
키워드: 전투 리셋
배치: 주로 후열에서 필살기를 통한 암살과 패시브 스킬 "설계"를 활용하여 전투 리셋과 대미지 증가를 노리는 서브딜러형 시간회귀 생존자.
개인장비: 30. 30 이전에도 옵션이 나쁘지는 않으나 30에 붙는 옵션이 다름아닌 방어력 무시라서 반드시 30에서야 사용하기가 좋음.
특수장비: 공격력 증가의 옵션을 극대화하기 위해 "탄약"을 사용하는 걸 추천함.
활용처
총평: 이중 전투를 통해 자신의 공격력과 생존력을 증대시키고 패배할 경우 자신의 늘어난 공격력을 그대로 가져가 상대방을 한 번에 녹이려 드는 특이한 컨셉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은 스킬 연계가 부족해 PVP에서나 정말 가끔 볼 수 있는 미완성 생존자. |
![]() 에바
평점: ★★★
키워드: 매혹, 부하 소환
배치: 본체보다 소환하는 추종자의 생존 여부가 중요하기에 딱히 자리를 가리진 않으나 매혹의 범위 때문에 주로 후열에서 시작하는 서브딜러형 생존자.
개인장비: 30. 30에서 에너지 회복을 꾀할 수 있기에 본격적으로 에바를 쓰기 위해선 30이 무조건 필요함.
특수장비: 필살기의 매혹을 위해 "기호품"이나 "신발"을 먼저 고려하고 추종자를 통한 HP회복 옵션을 위해 "의약품"을 사용할 수 있음.
활용처
총평: 추종자라는 소환수를 통해 본체의 생존력을 확보하고 필살기의 광범위한 매혹으로 상대의 진형을 흐트려 놓아 우세를 점하지만 그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는 상당한 투자가 필요한 생존자. | ![]() 네간
평점: ★★★★★
키워드: 납치, 에너지 조절
배치: 후열에 배치하여 2스킬 당첨으로 적을 납치해오는 등 메인 딜러가 딜을 폭발적으로 넣을 수 있게 지원하는 보조형 생존자.
개인장비: 20 or 30. 필살기를 통한 대미지 증가를 위해 20강은 기본으로 하며 이를 더 극대화하기 위해 30강까지 노려볼 수 있으나 우선순위는 떨어짐.
특수장비: 기본적으로 스킬의 활용을 위해 "신발"을 사용하지만 네간 자체의 생존력을 위해 "헬멧" 정도를 사용할 수 있음. 아브라함과 조합 시 "기호품" 사용은 납치 타이밍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요함.
활용처
총평: 벨의 등장으로 독보적이던 납치가 빛을 바래기는 했지만 특유의 에너지 조절과 대미지 증가 옵션으로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는 생존자. 아직 네간은 건재하다. |